(1) 학력
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졸업 (철학박사-Ph.D., 상담교육학 전공)
(2) 주요 경력 (현재)
① 한국 트라우마 연구교육원 겸임연구원
②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조교수 (2023.01.01. ~ )
③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아동·청소년상담 심리학과 조교수 (2023.03.01. ~ )
(3) 주요 경력 (종전)
① 경기도 군포시 청소년재단 센터장 (2020. ~ 2021.)
② 경기도 군포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센터장 및 팀원 (2006. ∼ 2020.)
③ 명지대학교 심리치료학과 조교수 (2022.)
④ 성균관대학교 외상심리건강연구소 연구원 (2019. ~ 2022.)
⑤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시간강사 (2020. ∼ 2022.)
⑥ 성균관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연구원 (2004. ∼ 2006.)
⑦ 진태원 소아청소년 정신과 치료사 (2002. ∼ 2003.)
(4) 주요 활동
① (현) 군포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연구기획분과 분과장
② (현) 군포의왕 교육청 위기지원단 위원
③ (현) 군포의왕 교육청 갈등조정단 위원
(1) 자격증
① 보건복지가족부 공인 ‘청소년상담사 1급’
② 한국심리학회 공인 ‘상담심리사 2급’
③ 교육인적자원부 공인 ‘전문상담교사 2급’
(2) 전문가 수련 (트라우마 전문 심리치료 이수)
① PTSD 청소년상담 및 지원 전문가 Workshop (경기도 청소년상담지원센터, 2009.11.9, 2009.11.16.)
② 심리적 외상 상담 Workshop 기초교육 (경기도 청소년상담지원센터, 2012.4.17, 2012.4.24.)
③ 심리적 외상상담 전문가 심화교육 (경기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, 2015.6.11 ~ 2015.6.12.)
④ 심리적 외상상담 전문가 보수교육 (경기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, 2015.11.4 ~ 2015.11.5.)
⑤ 지역사회 기반 트라우마 심리적 안정화 프로그램 Workshop (군포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, 2019. 2.)
⑥ 청소년을 위한 변증법 행동치료 생활기술 훈련 Workshop (군포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, 2019.5.9 ~ 5.10.)
⑦ 안전기반치료 Workshop (경기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, 2020.8.18 ~ 2020.8.19.)
⑧ Trauma Focu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5차 교육 이수
[Workshop, Korea Trauma Research & Education Institute, Seoul, 2021.07.07 ~ 2021.07.08]
⑨ 지속적 노출치료 (PE: Prolonged Exposure) 8차 교육 이수
[Workshop, Korea Trauma Research & Education Institute, Seoul, 2021.07.17 ~ 2021.07.18]
⑩ 내러티브 노출치료 (NET: Narrative Exposure Therapy) 6차 교육 이수
[Workshop, Korea Trauma Research & Education Institute, Seoul, 2021.08.07 ~ 2021.08.08]
⑪ 애착과 자기조절 및 유능감 증진을 위한 ARC Model 1차 교육 이수
[Workshop, Korea Trauma Research & Education Institute, Seoul, 2021.08.21 ~ 2021.08.22]
⑫ 신체감각치료 기반 정서조절 12차 교육 이수
[Workshop, Korea Trauma Research & Education Institute, Seoul, 2021.10.30 ~ 2021.10.31]
⑬ 다차원 트라우마 증상 척도(MTSS: Multidimensional Trauma-related Symptoms Scale)의 임상적 활용 2차 교육 이수
[Workshop, Korea Trauma Research & Education Institute, Seoul, 2023.06.16]
(1) 수상 경력
① 군포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표창 (경기도, 2020)
② 한국상담심리학회 최우수 논문상 (한국상담심리학회, 2018)
③ 인성교육 유공 표창 (경기도, 2017)
④ 청소년지도자 유공 표창 (여성가족부, 2013)
(2) 참여 연구과제
① 군포시 청소년 실태조사 (군포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, 2011)
② 군포시 청소년 행복실태조사 (군포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, 2013)
③ 군포시 청소년 전문적 도움추구에 관한 연구 (군포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, 2015)
④ 지역사회 기반 청소년 트라우마 심리적 안정화 프로그램 개발 (한국 트라우마 연구교육원 & 군포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, 2019)
⑤ 심리적 안정화 프로그램 ‘내 마음 토닥토닥’ (한국 트라우마 연구교육원 & 군포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, 2020)
⑥ 재난심리지원 개선방안 심화연구 (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4.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, 2021.7 ~ 2021.12)
⑦ 교육시설 재난 트라우마 관리 정책 마련 연구 (한국교육시설안전원, 2021.8 ~ 2021.12)
⑧ 트라우마 센터 사업분석 연구 (가습기 살균제 사건과 4.16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, 2021.12 ~ 2022.3)
⑨ 재난피해자 일상회복을 위한 『마음구호 프로그램』 개발 연구 (행정안전부, 2022.4 ~ 2022.9)
⑩ 재난유형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평가방법 및 심리회복모델 개발 연구 (행정안전부 및 국립재난안전연구원, 2022.4 ~ 2025.12)
⑪ 『디지털 성범죄 유포 및 유포불안 피해 경험에 관한 연구』 (한국여성 인권진흥원, 2023.3 ~ 2023.10)
⑫ 교육시설 재난 심리지원 효과성 검증 기획연구 (한국교육시설안전원, 2024.4 ~ 2024.9)
(3) 책자 발간
① 신규청소년동반자 직무연수 (2011). 한국청소년상담원.
(4) 논문 게재
① 명소연, 조진옥(2016). 학교 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 연구: 학교 밖 지원사업을 중심으로, 청소년상담연구, 24(2)
② 조진옥, 명소연(2016). 다시 맞이하는 결정적 시기, 한국심리학회지: 학교, 13(3)
③ 이동훈, 정보영, 강은진, 명소연(2017). 미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팀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, 비교교육연구, 27(1)
④ 이동훈, 정보영, 강은진, 명소연(2018). 자살사건 외상대응과정에 대한 사례연구, 한국심리학회지: 상담 및 심리치료, 30(1)
⑤ 이동훈, 정보영, 강은진, 명소연(2018). 학생 위기개입 과정에서의 교사경험에 대한 연구, 한국교원교육연구, 35(2)
⑥ 명소연, 이동훈(2019). 학교 장면에서의 위기대응 양상에 관한 사례연구, 교육학연구, 57(3)
⑦ 명소연, 이동훈(2020). 청소년 상담자의 대리외상 및 대처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: 학대피해 상담을 중심으로, 청소년상담연구, 28(1)
(5) 국내학술대회 발표
① 명소연 외(2012. 6.). 학교를 떠나는 아이들. 한국상담심리학회 연차대회
② 명소연 외(2013. 8). 학업중단 숙려제 그 이후 통합지원모델의 실제. 한국상담심리학회 학술대회.
③ 명소연 외(2018. 5.). 자살사건 외상대응과정에 대한 사례연구, 교육학회 학술대회
(6) 정책연구 보고서
①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모델 개발연구 2(2019): 질적 패널조사를 중심으로.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