Ʈ츶 ī ȳ
ѱ Ʈ츶 μ
Ʈ츶 ī̿ ϰ ִ Ʈ츶 ȳԴϴ.

MORE
û
ѱ Ʈ츶 μ
Ʈ츶 ī ǥԴϴ.

MORE
ڷ
ѱ Ʈ츶 μ
Ʈ츶 ī ڷԴϴ.

MORE
Ʈ츶 ī
[행정안전부 발주 & 한국 트라우마 연구교육원 수주] 『마음구호 프로그램…
[행정안전부 발주 & 한국 트라우마 연구교육원 수주] 『마음구호 프로그램』 지침서 및 교안 개발 연구 소개 및 관련 교육자료 다운로드 링크주소 안내1. 재난피해자 일상회복을 위한 『마음구호 프로그램』 개발 연구에 대한 소개 ① 한국 트라우마 연구교육원의 연구진은, 독립된 자격으로, 2022년도 4월에, 행정안전부 재난구호과 측에서 발주한, ‘재난피해자 일상회복을 위한 『마음구호 프로그램』 개발 연구’의 수행을 위한, 연구계획을 제안하였고, 여러 심사를 통과하여, 최종 연구단으로 선정 되었습니다. ② 주혜선 원장님께서는, 해당 연구과제의 책임연구자로 연구팀을 이끌며, 연구를 수행하셨습니다. ③ 또한, 한국 트라우마 연구교육원의 이나빈 수석책임연구원님과 명소연 책임연구원님께서는 해당 과제의 공동연구원으로 참여 하셨으며, 김보경 선임연구원님과 최원탁 선임연구원님 및 이윤미 선임연구원님께서는, 해당 과제의 연구보조원으로 참여 하셨습니다. 2. 재난피해자 일상회복을 위한 『마음구호 프로그램』 개발 연구에 대한 주요 내용 ① 연구과제명: ‘재난피해자 일상회복을 위한 『마음구호 프로그램』 개발 연구’ ② 연구기간: 2022년 4월 20일 ~ 2022년 9월 17일. ③ 연구진: <1> 주혜선 (해당 연구과제의 책임연구원, 한국 트라우마 연구교육원 원장), <2> 이나빈 (해당 연구과제의 공동연구원, 한국 트라우마 연구교육원 수석책임연구원), <3> 명소연 (해당 연구과제의 공동연구원, 한국 트라우마 연구교육원 책임연구원), <4> 김보경 (해당 연구과제의 연구보조원, 한국 트라우마 연구교육원 책임상담사 겸 선임연구원), <5> 최원탁 (해당 연구과제의 연구보조원, 한국 트라우마 연구교육원 책임상담사 겸 선임연구원), <6> 이윤미 (해당 연구과제의 연구보조원, 한국 트라우마 연구교육원 책임상담사 겸 선임연구원). ④ 연구의 배경: <1> 국가적 차원에서 재난 심리회복지원 필요성의 확대 <2> 지역별 재난 심리회복지원 역량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표준화 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<3> 재난 심리회복지원센터의 운영 목적에 부합한 프로그램 마련 <4> 효율적인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 모색 ⑤ 연구의 내용: 한국 트라우마 연구교육원은, 계약된 연구기간 이내에, 다음의 내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게 됩니다. <1> 연구의 수행범위: · 본 연구에서는, 재난 심리지원의 주관기관인 재난 심리회복지원센터가 재난으로 영향을 받게 된 저위험·중위험군들을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개발하고자 합니다. · 본 연구에서는, 재난 발생으로 인한 스트레스 증상의 감소와 일상 회복을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, 심리회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합니다. · 현재, 재난 심리회복지원센터는, 전담 인력이 재난 현장에서의 심리지원과 구호지원에 대한 정보제공 및 고위험군에 대한 발굴이나. 연계에 대한 종합적인 역할을 수행 하도록 하고 있으나, 현실적으로 그 구성원들이 센터장과 전담 인력 1명 또는 2명으로 구성되어 있어, 직접적으로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. · 본 연구에서는, 재난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구성 요소들을 중심으로, 표준화 된 교안을 마련하여, 재난 심리지원 활동가들이 보다 체계적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 <2> 연구의 목적: · 본 연구의 목적은, 재난경험자의 심리적 안정과 회복을 도울 수 있는 마음구호 프로그램 표준(안)을 개발·보급하여, 국내 재난 심리지원의 효과성과 그 전문성을 제고시키는데 있습니다. · 본 연구에서는,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,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게 됩니다. · 첫째, 국내·국외 재난 심리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 조사를 수행하여, 재난 후 심리·사회적 지원의 국제 표준지침 기준에 부합하고, 효과에 있어서도 안정성과 근거가 확보된 프로그램들을 선별하여, 그 운영 현황과 적용 사례를 분석하고자 합니다. · 둘째, 표준안 마련을 위해 선별된 프로그램 유형과 콘텐츠 효과에 대한 분석 연구를 수행 하고자 합니다. · 셋째, 1단계와 2단계 연구 결과와 전문가 사전 검토를 통하여, 최적화 된 마음구호 프로그램 Curriculum을 구성 하고자 합니다. · 넷째, 재난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표준 운영과 활성화 방안 연구를 수행 하고자 합니다. · 이후 17개 시·도 재난 심리회복지원센터와 담당부서 및 중앙 재난심리회복단, 그리고 정부부처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의견 조사를 수행하여, 국내 재난 심리회복지원 프로그램의 교육과 품질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략을 도출할 예정입니다.3. 『마음구호 프로그램』 지침서 및 교안 다운로드 링크주소 안내: https://www.safekorea.go.kr/idsiSFK/neo/sfk/cs/csc/bbs_conf.jsp?bbs_no=16&emfPage=Y&menuSeq=561&viewtype=read&bbs_ordr=34
2025-04-15